금융 디지털화에… 점포 1000개, 직원 8000명 줄어

금융 디지털화에… 점포 1000개, 직원 8000명 줄어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22-09-20 18:02
수정 2022-09-21 01: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비대면 업무 확대’ 은행·보험 감소
‘공격적 영업’ 운용·카드사는 증가

금융 시스템의 급격한 디지털화로 1년 사이 금융사 점포와 직원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바일과 인터넷을 통한 이용이 활발해지면서 은행과 보험사의 점포와 종사자 수가 다른 금융사에 비해 축소됐다. 반면 공격적인 영업에 나선 자산운용사 등은 오히려 점포·직원 수가 늘었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은행과 보험 등 국내 금융사의 지난 3월 말 점포 수는 총 1만 5924개로 지난해 3월 말(1만 6961개)에 비해 1037개(6.1%) 줄었다. 금융사 직원 수도 38만 6129명에서 37만 8056명으로 같은 기간 8073명(2.1%) 감소했다. 특히 보험사의 경우 5716개에서 5018개로 698개 점포가 영업을 중단해 금융권에서 가장 많이 감소했고, 직원 수도 5만 8545명에서 5만 2932명으로 5613명이 줄었다. 보험 모집 시스템이 인공지능(AI) 등 디지털화가 급격히 이뤄진 영향인데, 최근에는 보험설계사나 영업점을 통하지 않고 직접 보험에 가입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비대면 업무가 확대된 은행도 6601개에서 6221개로 한 해 동안 380개의 영업점이 문을 닫았다.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이 금감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KB국민·우리·하나·신한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점포가 전혀 없는 기초자치단체가 47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은행은 노령층 등의 불편이 커진다는 비판에 따라 공동 점포 등의 활용에 나선 상황이다. 반면 자산운용사의 점포는 396개에서 430개로 34개가 늘었고, 신용카드사 등 여신전문금융사도 728개에서 775개로 47개가 늘었다. 직원 수도 각각 1425명, 504명이 증가했다.





2022-09-21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