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금융사들의 호실적 행진이 이어진 가운데 자산운용사와 저축은행도 역대 최대 실적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자산운용사와 저축은행의 잠정 당기순이익은 각각 2조 1643억원, 1조 9654억원으로 집계됐다. 2020년과 비교하면 자산운용사의 당기순이익은 67%, 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은 40.4% 불어났다.
자산운용사의 경우 수수료 수익과 증권투자이익이 각각 38.3%, 45.7% 늘어 순이익 증가를 견인했다. 지난해 말 기준 자산운용사는 총 348곳(공모 76곳·전문사모 272곳)으로 2020년 말보다 22곳 늘었다. 이들 가운데 310곳이 흑자를, 38곳이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기준 자산운용사의 운용자산은 1322조 2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24조 4000억원(10.4%) 증가해 역대 최대 규모로 집계됐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0.2%로 전년 대비 5% 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저축은행 79곳의 총자산은 118조 2183억원으로 1년 전보다 26조 2168억원(28.5%) 늘었다. 이 가운데 총대출은 100조 4804억원으로, 전년보다 22조 8705억원(29.5%) 증가했다. 기업대출은 법인대출 위주로 58조 9000억원, 가계대출은 신용대출 위주로 37조 9000억원을 차지하며 1년 전보다 각각 15조 7000억원(36.3%), 6조 3000억원(19.8%) 늘었다.
대손충당금전입액 등 저축은행의 비용은 늘어났지만 이자손익이 더 크게 증가하며 순이익을 확대했다. 지난해 저축은행들의 대손충당금전입액은 1조 7122억원, 이자손익은 5조 9518억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하면 각각 1716억원, 9205억원 늘었다. 지난해 말 총여신 연체율은 2.5%로, 2020년 말보다 0.8% 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가계대출 연체율은 3.7%로 전년보다 0.4% 포인트 늘었다. 금감원은 코로나19 재확산과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다중채무자를 중심으로 잠재 부실이 현재화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인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