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주거 환경 구축을 위해 ‘범죄예방 환경설계’(셉테드·CPTED)를 고민하던 건축환경 및 설비 분야 대학 교수들과 연구진이 모여 설립한 ‘바운더리 컨디션’(대표 박상훈 인천대 도시건축학부 교수)은 7일 새로운 형태의 비상벨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지난 7월 공중화장실 비상벨 설치 의무화에 따라 많은 지자체에서 비상벨을 도입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저가 비상벨의 경우 통신품질 문제를 비롯해 품질에 대한 신뢰가 떨어진다. 또 통신이 안정적이고 112 자동신고 기능을 탑재한 비상벨은 비용 부담으로 인하여 설치하기 쉽지 않은 여건에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바운더리 컨디션에서 우수한 성능에 가격도 합리적인 비상벨을 출시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회사에 따르면 이 비상벨은 ‘반응형 셉테드’(Responsive CEPTED) 기술을 적용해 통신 및 전원 최적 설계가 이뤄졌다. 우수한 통신품질을 확보하면서 112 자동신고를 대체할 수 있도록 민간 출동업체와 연계가 가능하도록 구성돼 있다. 또 이상음원, 충격감지 등의 센서와도 연동이 가능해 비상벨의 활용성을 한층 높였다고 평가된다고 밝혔다.
현재 대학 캠퍼스 등에 시범 적용하여 성능테스트를 완료했으며 다양한 공간에서 폐쇄회로(CC)TV, 화재 감지설비 등과의 연계를 통해 건물 통합 안전 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바운더리 컨디션의 박상훈 대표는 “건축 환경적인 기법과 설비적인 보완을 통해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 공간을 조성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반응형 셉테드 기술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난 7월 공중화장실 비상벨 설치 의무화에 따라 많은 지자체에서 비상벨을 도입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저가 비상벨의 경우 통신품질 문제를 비롯해 품질에 대한 신뢰가 떨어진다. 또 통신이 안정적이고 112 자동신고 기능을 탑재한 비상벨은 비용 부담으로 인하여 설치하기 쉽지 않은 여건에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바운더리 컨디션에서 우수한 성능에 가격도 합리적인 비상벨을 출시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회사에 따르면 이 비상벨은 ‘반응형 셉테드’(Responsive CEPTED) 기술을 적용해 통신 및 전원 최적 설계가 이뤄졌다. 우수한 통신품질을 확보하면서 112 자동신고를 대체할 수 있도록 민간 출동업체와 연계가 가능하도록 구성돼 있다. 또 이상음원, 충격감지 등의 센서와도 연동이 가능해 비상벨의 활용성을 한층 높였다고 평가된다고 밝혔다.
현재 대학 캠퍼스 등에 시범 적용하여 성능테스트를 완료했으며 다양한 공간에서 폐쇄회로(CC)TV, 화재 감지설비 등과의 연계를 통해 건물 통합 안전 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바운더리 컨디션의 박상훈 대표는 “건축 환경적인 기법과 설비적인 보완을 통해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 공간을 조성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반응형 셉테드 기술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