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중공업이 완전자본잠식에 빠지면서 주식거래가 정지됐다. 자회사인 필리핀 현지법인 수비크조선소이 부실로 기업회생 절차를 밟으면서다.
13일 오후 2시쯤 한진중공업은 지난해 자본금 대비 자본총계의 비율이 -140%로 떨어졌다고 공시했다. 이에 이날 오후 2시쯤부터 유가증권시장에서 한진중공업은 1190원에 거래가 중지됐다.
수비크조선소는 조선 불황과 수주 절벽에 지난 3년 동안 적자가 누적된 데다가, 현지 은행들이 4억 달러(약 45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상환하라는 요청이 일시적으로 들어오자 올해 초 기업회생 절차를 밟았다.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수비크조선소의 지분 99.9%를 가진 한진중공업은 지난해 수비크조선소 매각을 시도했지만 좌초됐다.
오는 4월 1일까지 한진중공업이 자본잠식 해소 사실을 입증하는 자료를 내놓지 않으면 상장폐지 실질심사에 들어간다. 채권단이 출자 전환에 동의하고 한진중공업이 한국거래소에 자본확충 방안 등을 제출하더라도 실제 자본잠식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거래가 계속 중단된다. 이 때문에 거래 정지는 한동안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완전 자본잠식이기 때문에 4월 1일까지 수정 재무재표를 제출하고 자본잠식을 해소하지 않으면 상장폐지 실질심사에 들어가게 된다”고 밝혔다.
다만 한진중공업은 조만간 필리핀 현지 은행과 채무조정 협상 결과에 따라 산업은행 등 국내 채권단과 함께 출자전환에 참여하고 감자를 거쳐 자본잠식 상태를 해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13일 오후 2시쯤 한진중공업은 지난해 자본금 대비 자본총계의 비율이 -140%로 떨어졌다고 공시했다. 이에 이날 오후 2시쯤부터 유가증권시장에서 한진중공업은 1190원에 거래가 중지됐다.
수비크조선소는 조선 불황과 수주 절벽에 지난 3년 동안 적자가 누적된 데다가, 현지 은행들이 4억 달러(약 45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상환하라는 요청이 일시적으로 들어오자 올해 초 기업회생 절차를 밟았다.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수비크조선소의 지분 99.9%를 가진 한진중공업은 지난해 수비크조선소 매각을 시도했지만 좌초됐다.
오는 4월 1일까지 한진중공업이 자본잠식 해소 사실을 입증하는 자료를 내놓지 않으면 상장폐지 실질심사에 들어간다. 채권단이 출자 전환에 동의하고 한진중공업이 한국거래소에 자본확충 방안 등을 제출하더라도 실제 자본잠식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거래가 계속 중단된다. 이 때문에 거래 정지는 한동안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완전 자본잠식이기 때문에 4월 1일까지 수정 재무재표를 제출하고 자본잠식을 해소하지 않으면 상장폐지 실질심사에 들어가게 된다”고 밝혔다.
다만 한진중공업은 조만간 필리핀 현지 은행과 채무조정 협상 결과에 따라 산업은행 등 국내 채권단과 함께 출자전환에 참여하고 감자를 거쳐 자본잠식 상태를 해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