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 세종 ‘스마트 하이웨이’
국토교통부가 서울~세종고속도로를 ‘스마트 하이웨이’로 건설한다고 발표하면서 꿈의 고속도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세계도로대회 기술 분야의 화두도 단연 스마트 하이웨이였다. 한국도로공사는 현재 수원IC부터 서울톨게이트(11㎞) 구간에서 일부 기술을 테스트하고 있다.스마트 하이웨이는 말 그대로 똑똑한 고속도로를 말한다.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시켜 톨게이트 없이 통행료가 자동 계산되고 차 안에서 전방 교통 상황을 알 수 있는 시스템이다. 주변 교통 방해 요인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자동차 자율 운행을 돕는 시설도 갖춘 꿈의 고속도로다. 국책 연구개발사업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도로기술, 자동차기술,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이 전제된다. 교통 체증을 막고 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망 해외 기술 수출 분야이기도 하다. 스마트 톨링, 지능형 교통 정보 시스템이 주요 내용이다.
스마트 톨링은 톨게이트에서 정차하지 않고 시속 100㎞로 달려도 자동으로 차 번호판을 인식해 요금이 자동 결제되는 시스템이다. 이미 사용 중인 하이패스 기술에 차량 번호 영상 인식기술, 근거리 전용 통신기술 등이 활용된다. 통행료 정산을 위해 톨게이트 앞에서 속도를 줄이거나 정차하지 않아도 된다.
차세대 지능형 교통 체계는 도로 상황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방의 주행 속도는 물론 고장 차량, 낙하물 발견 등의 돌발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고속도로 곳곳에 설치된 통신기지국 및 레이더가 정보를 감지해 운행 차량에 알려주는 것이다. 눈과 비가 내리는 악천후에도 1㎞까지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 자동차 자율 주행 장치를 돕는 기술이 더해진다. 정밀전자도로지도를 만들어야 하고 특수 차선, 특수 표지판도 개발해야 한다. 서울톨게이트부터 영동선 호법 분기점(왕복 80㎞)까지의 구간에서 시험을 거쳐 평창동계올림픽을 기념해 자율 협력 주행을 선보일 계획이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5-11-21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