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250억원 투입한 교통정보사이트…민간에 밀려”

“세금 250억원 투입한 교통정보사이트…민간에 밀려”

입력 2015-09-10 07:36
수정 2015-09-10 07: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석호 “국토부 TAGO사이트, 실시간 정보 없는 속빈 강정”

국토교통부가 세금 250억원을 투입해 구축·운영중인 국가대중교통정보센터(TAGO) 사이트가 민간에 밀려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도 못하고 예산만 낭비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0일 국토교통부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강석호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토부는 하나의 인터넷 사이트로 버스·지하철·철도·항공·해운 등 대중교통수단정보를 제공하겠다며 2005년부터 TAGO사이트(www.tago.go.kr) 구축에 들어갔다.

먼저 노선 정보와 배차시간, 요금 등 고정된 ‘정적 정보’를 구축하는데 2005년부터 2011년까지 6년간 216억7천만원을 투입했다.

2012년부터는 버스 위치와 정류장 도착 예정정보, 잔여석 정보 등 ‘실시간 정보’ 구축 단계에 들어갔는데 네이버·다음 등 인터넷 포털사이트와 SK텔레콤·LG유플러스 등 통신사가 같은 서비스에 나서면서 벽에 부닥쳤다.

강 의원에 따르면 버스정보시스템(BIS)을 운영 중인 서울시와 부산시, 경기도 등은 이미 민간 포털·통신사와 연계중이었기 때문에 TAGO사이트와 연계가 성사되지 않았다.

결국 국토부는 지자체 버스정보시스템으로부터 정적정보와 실시간 정보를 받아 민간 업체에 전달하는 중간자 기능을 맡기로 하고 2014년 7월 네이버·다음·SK텔레콤·LG유플러스와 협약을 맺었다. TAGO사이트를 통해 실시간 정보를 직접 제공하는 사업은 포기했다는 설명이다.

TAGO사이트에는 2005∼2011년 216억7천만원, 2012년 6억원, 2013년 20억원, 2014년 8억원, 올해 6억5천만원 등 2005년부터 총 257억여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이 사이트는 현재 네이버·다음의 실시간 교통정보와 각 지자체 버스정보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도록 사이트주소(URL)만 게시하고 있다.

특히 항공·철도의 경우 예정된 스케줄만 보여주기에 ‘본 정보는 항공사·철도공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 최신정보는 항공사·철도공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모든 정보를 종합해 최적의 환승정보를 제공하겠다’던 TAGO사이트 애초의 목적과는 멀어진 것이다.

강 의원은 “TAGO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이용자에게 거의 쓸모가 없는 죽은 정보들”이라며 “언제까지 사이트 운영 명목으로 수 억원의 예산을 낭비할 셈인가”라고 지적했다.

국토부는 국번없이 1333번을 누르면 전국의 콜택시 회사로 연결해주는 서비스를 구축하는데 예산 60억원을 쏟고 있으나 이 역시 ‘카카오택시’ 등 민간업계에 밀려 예산낭비라는 지적이 나온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어린이 대상 의정 교육에서 기획경제위원회 역할 알기 쉽게 소개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소속 구미경 의원(국민의힘, 성동2)은 지난 22일 성동구 숭신초등학교에서 진행된 ‘EBS 찾아가는 서울시의회 퀴즈쇼 해통소통 탐험대’ 녹화에 출연해, 초등학생들과 함께 서울시 예산과 경제정책을 주제로 퀴즈를 풀며, 기획경제위원회의 역할을 알기 쉽게 소개했다. ‘해통소통 탐험대’는 서울시의회와 EBS가 공동 기획한 어린이 대상 의정 교육 프로그램으로, 상임위원회별로 1명의 의원이 직접 출연해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퀴즈와 대화를 통해 서울시의회 상임위의 기능을 쉽게 전달하고자 마련된 체험형 의정 프로그램이다. 이날 구 의원은 서울시 예산의 편성과 집행 과정, 정책 우선순위 결정, 투자 및 일자리 창출 등 시정 전반을 조정하는 기획경제위원회의 주요 기능을 설명했다. 특히 서울시의 살림을 어떻게 계획하고 운영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기획경제위원회의 핵심 과제임을 강조하며, 실생활과 연결된 사례를 통해 개념을 쉽게 전달했다. 현장에 함께한 초등학생들은 퀴즈마다 적극적으로 손을 들고 정답을 외치며 열띤 분위기를 만들었고, 구미경 의원은 각 문제에 친절한 해설을 덧붙이며 아이들의 이해를 도왔다. 구 의원은 “예산이나 정책이라는 단어가 어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어린이 대상 의정 교육에서 기획경제위원회 역할 알기 쉽게 소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