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경영 승계는
최고경영자(CEO)의 임기는 무제한일까. 건강한 의사 판단이 가능할 때까지 일하고 이후 경영권을 후계에 물려주는 승계 절차(플랜)는 해외에서도 논란이 많다. 경영권을 움켜쥐고 기업 운영에 계속 관여하고자 하는 CEO가 많기 때문이다. 다만 이들은 적절한 승계 플랜을 통해 후계자를 선정함으로써 투자자의 불안을 해소하고자 노력한다.
4일 국제 기업컨설팅기구 콘퍼런스보드에 따르면 연령은 CEO의 강제 퇴임 정책(mandatory CEO retirement policy)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 즉 나이가 많다고 CEO를 쫓아내는 기업은 많지 않다는 얘기다. 콘퍼런스보드가 국제신용평가회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에 속하는 기업들을 조사한 결과 제조업 기업 가운데 13%, 비금융서비스업 회사의 11%만이 CEO의 재임 연령을 제한하고 있다.
유명 해외 기업 CEO 가운데는 고령에도 활발한 경영 활동을 펼치는 이가 적지 않다. 섬너 레드스톤(92)은 미국 방송사 CBS와 연예·오락 콘텐츠기업인 바이어컴을 이끌고 있다. 바이어컴은 해당 분야에서 매출 기준으로 세계 5위의 대기업이다. 지난 5월 미국 언론은 레드스톤 회장이 건강 문제로 사임할 것이라고 보도했으나, 레드스톤은 즉각 반박자료를 냈다. 그는 “나는 죽을 때까지 모든 의사 결정을 할 것”이라며 “나를 이을 다음 회장은 어느 개인도 아닌 7인으로 구성된 이사회가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버핏·머독도 후계자 이미 선정
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워런 버핏(85)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은 지난 2월 취임 50주년을 맞아 투자자들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후계 계획을 밝혔다. 그는 “내가 죽거나 물러나면 후임자가 즉시 CEO를 맡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버핏은 CEO 승계 플랜을 통해 50~60대 2명의 후계자를 경쟁시킨 끝에 한 명을 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디어의 황제 루퍼트 머독(84)도 올해 안에 21세기 폭스사의 CEO직에서 물러날 것으로 전망된다. 월스트리트저널 등은 지난 6월 머독이 차남인 제임스(42)에게 21세기 폭스사 CEO를 물려줄 것이라고 보도했다. 큰아들 라클런(43)에게는 신문, 출판업 중심의 뉴스코프를 맡길 것으로 전해진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5-08-0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