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까지 세계 수주율 70% 계획
정부가 오염물질 배출이 많은 최하위급 원유인 벙커C유 대신 액화천연가스(LNG)를 배의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선박 ‘LNG 연료추진선’을 집중 육성한다. 세계 1위 조선산업의 미래 신사업으로 2025년까지 LNG 연료추진선 수주율 70%를 달성하고 LNG 연료추진선 신·개조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전방위 공략을 펼칠 계획이다.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에서 현대중공업,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 등 50개 기관이 참여하는 ‘친환경선박(에코십) 상생협력 네트워크 구축’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정부와 참여 기관은 우선과제로 LNG 연료추진선 개발과 LNG 급유(벙커링) 인프라를 적극 구축하기로 했다. LNG 연료추진선은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유해가스 배출량을 벙커C유를 쓰는 선박의 10분의1로 줄일 수 있다. 정부는 셰일가스 공급 증가로 친환경 LNG 연료추진선의 보급이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보고 LNG 연료추진선과 선박급유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해 국내 조선업체들의 수주 역량을 높여 나가기로 했다. 해외 의존도가 높은 핵심 기자재를 국산화하는 기술개발도 적극 지원한다. 로이드선급에 따르면 전 세계 LNG 연료추진선 신규 발주액은 지난해 6조원 규모로 올해부터 2025년까지 누적 발주액은 148조 5000억원으로 커질 전망이다.
벙커링산업 환경 구축을 위해 가스공사 LNG 인수기지인 통영터미널을 벙커링 겸용 터미널로 우선개발하고 광양(포스코), 보령(SK·GS), 인천(가스공사)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대형 선박이 입출항하는 국내 주요 항만에 LNG 벙커링 전용 터미널도 만들 예정이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5-07-1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