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창업 희망자들은 시장규모가 큰 미주지역을 가장 선호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해외 창업의사가 있는 청년 2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은 34.3%가 미주 지역에서 창업을 희망한다고 답했다고 13일 밝혔다.
그다음으로는 중국(26%), 중국·일본 외 아시아(18.6%), 일본(6.9%), 유럽(6.9%), 오세아니아(6.4%) 등 순이었다.
미주를 선호한 이유로는 ‘큰 시장규모’란 답이 31.4%로 가장 많았고 ‘발전가능성’(17.1%)과 ‘기술력 등 인프라’(14.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중국을 꼽은 응답자의 56.6%도 ‘큰 시장규모’를 선호 이유로 들었다.
해외에서 창업을 희망하는 이유로는 32.4%가 ‘꿈·이상 실현’이라고 답했고 ‘국내시장 과열경쟁’(24.0%), ‘해외 창업아이템 보유’(17.6%), ‘국내경기 침체’(10.8%), ‘취업문제 해결’(9.8%) 등의 답변도 있었다.
창업희망 업종으로는 소프트웨어 개발 등 IT업종(30.9%)과 음식·문화·관광 등 서비스업(30.4%)이 가장 많았으며, 도·소매 및 유통업(19.1%)과 제조업(17.6%)도 적지 않았다.
해외 창업을 위한 계획으로는 ‘정부 지원 프로그램 이용’(27.5%), ‘국내 창업 후 해외진출’(21.6%), ‘해외 취업을 통해 경험을 쌓은 후 창업’(20.6%) 등 순이었다. ‘자체 보유 기술력·설비·노하우 등으로 바로 창업’이라는 응답은 12.3%에 그쳤다.
연합뉴스
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해외 창업의사가 있는 청년 2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은 34.3%가 미주 지역에서 창업을 희망한다고 답했다고 13일 밝혔다.
그다음으로는 중국(26%), 중국·일본 외 아시아(18.6%), 일본(6.9%), 유럽(6.9%), 오세아니아(6.4%) 등 순이었다.
미주를 선호한 이유로는 ‘큰 시장규모’란 답이 31.4%로 가장 많았고 ‘발전가능성’(17.1%)과 ‘기술력 등 인프라’(14.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중국을 꼽은 응답자의 56.6%도 ‘큰 시장규모’를 선호 이유로 들었다.
해외에서 창업을 희망하는 이유로는 32.4%가 ‘꿈·이상 실현’이라고 답했고 ‘국내시장 과열경쟁’(24.0%), ‘해외 창업아이템 보유’(17.6%), ‘국내경기 침체’(10.8%), ‘취업문제 해결’(9.8%) 등의 답변도 있었다.
창업희망 업종으로는 소프트웨어 개발 등 IT업종(30.9%)과 음식·문화·관광 등 서비스업(30.4%)이 가장 많았으며, 도·소매 및 유통업(19.1%)과 제조업(17.6%)도 적지 않았다.
해외 창업을 위한 계획으로는 ‘정부 지원 프로그램 이용’(27.5%), ‘국내 창업 후 해외진출’(21.6%), ‘해외 취업을 통해 경험을 쌓은 후 창업’(20.6%) 등 순이었다. ‘자체 보유 기술력·설비·노하우 등으로 바로 창업’이라는 응답은 12.3%에 그쳤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