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5년 04월 30일 11시 0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기존 송전선로 활용, 수도권에 안정적 전력 공급
포스코에너지(사장 황은연)가 원자력발전소 1기의 발전 용량에 필적하는 LNG(액화천연가스) 복합발전소 3기를 준공했다.1972년부터 가동한 국내 최초의 민간발전설비 2개 호기(기존 1, 2호기)를 대체하는 LNG복합 7, 8, 9호기를 완성, 고효율 전력 생산을 통해 수도권 전력 공급에 들어간다.
발전 용량은 총 1천260㎿(420㎿급 3기) 규모다.
포스코에너지는 30일 인천 서구 발전소 현장에서 권오준 포스코 회장, 황은연 포스코에너지 사장, 강범석 인천 서구청장, 이종민 인천 서구의회의장, 유정준 민간발전협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종합준공식을 열었다.
2010년 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된 이 설비는 2012년 착공해 LNG복합 평균 공기인 25개월보다 짧은 22개월 만에 가동됐다. 7호기는 먼저 가동돼 지난 여름부터 전력 수요에 부응했다.
최신 가스터빈으로 LNG복합 평균보다 6%포인트 향상된 발전효율을 자랑한다고 포스코에너지는 소개했다. 발전효율은 국내 최고 수준인 55.5%로 기존 1, 2호기보다는 효율이 12%포인트나 높다.
치밀한 환경영향평가를 거쳐 저녹스(NOx) 버너, 탈질장치, 황연저감장치 등을 탑재했다.
디자인 측면에서도 3개의 연돌을 하나로 통합하고 최고층에 전망대를 설치해 주변 미관과 조화를 이루는 랜드마크 역할을 하게 했다.
가장 큰 장점은 기존 송전선로를 활용해 송전망 이슈를 해결한데다 1시간 이내 신속한 기동과 출력조정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인천 LNG복합화력 7, 8, 9호기는 원전 1기에 상응하는 설비용량으로 국내 전력수요의 40%를 차지하는 수도권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것”이라며 “포스코에너지가 글로벌 종합에너지기업으로 도약하는 성공신화를 써 내려가는 걸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포스코에너지는 인천에 총 3천412㎿ 규모의 LNG복합발전소 3∼9호기, 포항과 광양에 총 580㎿ 규모의 부생가스복합발전소를 운영 중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