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뚜기는 1969년 회사 설립과 함께 생산한 최초의 품목인 ‘카레’로 온 국민의 가족 건강을 책임지고 있다. 1940년쯤 국내에 처음 소개된 카레는 1970년 오뚜기에 의해 대중화됐다. 카레가 건강에 좋은 이유는 카레 특유의 노란색은 ‘강황’에서 나오는 천연색으로 강황의 노란 색소에 있는 성분에는 노화 방지와 치매 예방은 물론 항암 효과까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 확대
오뚜기의 홍보모델 배우 김희애씨가 ‘3분 렌틸카레’를 소개하고 있다. 오뚜기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오뚜기의 홍보모델 배우 김희애씨가 ‘3분 렌틸카레’를 소개하고 있다. 오뚜기 제공
카레 요리는 이런 기능성뿐만 아니라 갖은 양념이 없어도 가정에서 손쉽게 만들 수 있다. 출시 초기 분말(가루) 형태로 선보인 오뚜기 카레는 시대의 변화와 함께 형태도 다양화해 1981년 ‘3분 요리’라는 브랜드를 내세워 레토르트 카레로 선보였다. 이후 2004년 건강에 좋은 강황을 ‘바몬드 카레 약간 매운맛’ 제품의 함량 대비 50% 이상 늘리고 베타글루칸 및 식이섬유가 풍부한 귀리 등을 원료로 사용한 ‘백세카레’가 출시했다. 맛뿐만 아니라 건강도 생각하는 카레로 더욱 진화하게 됐다. 또 2009년 4월 더욱 간편하게 카레를 조리할 수 있도록 물에 더 잘 녹고 더욱 새로워진 과립형 카레도 출시했다.
이 밖에도 2012년에는 발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높아진 인식을 반영한 ‘백세 발효강황카레’가 나왔다. 지난해 5월에는 렌틸콩을 주원료로 한 ‘3분 렌틸카레’까지 선보이는 등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제품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2015-04-1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