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 4.09%로 전월 대비 0.04%P↑… 신용·소액대출이 주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고민하고 있는 가운데 가계대출 금리가 오름세로 돌아섰다. 신용대출과 소액대출 금리가 오름세를 주도하고 있어 직장인과 서민층의 부담이 커졌다.
이주영 한은 금융통계팀 차장은 “카드사 정보유출 사태 이후 금지됐던 비대면 영업이 3월에 일부 허용되면서 직장인 등을 대상으로 한 신용대출이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며 “직장인 신용대출은 전문직 대출보다 금리가 높아 신용대출 평균 금리를 끌어올렸다”고 분석했다. 다만,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3.69%로 전달보다 0.02% 포인트 내렸다. 전달에 이어 역대 최저 기록을 다시 썼다.
반면, 예금금리는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정기 예·적금 등 저축성수신상품 평균 금리는 연 2.60%다. 전달보다 0.03% 포인트 하락했다.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96년 이후 최저치다. 시중 자금사정이 풍부해 은행들이 우대금리에 인색해진 때문이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4-3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